SEO & 검색 최적화

구글 애널리틱스로 분석한 티스토리 트래픽 유형

블로그 꿀팁 2025. 10. 3. 07:30
반응형

구글 애널리틱스로 분석한 티스토리 트래픽 유형

 

 

구글 애널리틱스로 분석한 티스토리 트래픽 유형

 

티스토리 트래픽GA4유입 채널오가닉 서치전환 설정

 

왜 GA4로 유입을 봐야 하는가

 

티스토리 운영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유입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어떤 채널이 트래픽을 끌어오고, 어떤 페이지가 체류와 전환을 만드는지 알면 투자 대비 효과(ROI)가 명확해집니다.

GA4는 세션·사용자 중심에서 이벤트 기반 측정으로 바뀌어, 스크롤·클릭·아웃바운드 같은 세밀한 행동을 캡처합니다. 덕분에 "방문만 많은 글"과 "전환에 기여하는 글"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핵심: 모든 결정은 데이터에서 출발합니다. 채널→랜딩→행동→전환의 흐름을 매주 점검하세요.
유입채널이 다르면 랜딩과 행동 패턴도 달라집니다. 채널별 전ㄴ략을 따로 세우세요

 

GA4 유입 채널 정의(티스토리 맞춤)

 

  • Organic Search: 구글/네이버/다음 등 검색에서 자연 유입. 제목·메타·목차·내부 링크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 Direct: 즐겨찾기·주소 직접 입력·미분류 유입. 고정 독자 비중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 Referral: 커뮤니티/카페/다른 블로그에서 넘어온 링크.
  • Organic Social: 인스타/트위터/X/페북 등 자연 소셜 유입.
  • Email: 뉴스레터·구독 메일 클릭 유입.
  • Unassigned/Other: 규칙에 못 들어간 항목. 라우팅 규칙을 보정하면 데이터 질이 향상됩니다.

티스토리는 검색 비중이 높고, 다음이 리퍼럴/소셜 순으로 따라오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블로그 성격에 따라 비중이 달라지므로 채널별로 랜딩·체류·전환을 따로 비교하세요.

 

핵심 보고서 읽기: 획득·랜딩·세그먼트

 

① 획득(유입) 리포트

  • 지표: 사용자수, 참여 세션, 평균 참여 시간, 전환수
  • 활용: Organic Search vs Referral의 체류/전환 차이를 비교

② 랜딩페이지 리포트

  • 지표: 랜딩별 사용자·참여율·평균 참여 시간·스크롤 깊이(이벤트)
  • 활용: 상위 20% 랜딩은 내부 링크 허브로 승격, 하위 30%는 제목/목차/썸네일 리라이트

③ 세그먼트/비교

  • 모바일 vs 데스크톱, 신규 vs 재방문, 소셜 vs 검색 등 비교 그룹을 저장
  • 포스트 길이, 이미지 수, 발행 요일 같은 운영 변수와의 상관을 기록

 

채널---> 랜딩---> 세그먼트 3단 독해로 '많이' 읽히는 글과 전환 만드는 글을 분리합니다

 

랜딩페이지 진단과 개선 시나리오

 

  1. 표제/썸네일: CTR이 낮다면 제목에 숫자·연도·문제/결과를 추가. 썸네일은 대비·가독성 개선.
  2. 목차/요약: 서두 3문장 요약 + TOC로 스캔 가독성 향상. H2/H3 라벨을 통일.
  3. 내부 링크: 2~3개 ‘다음 글’ 제안. 허브-스포크 양방향 연결.
  4. 이미지/속도: WebP 변환, 지연 로딩, 불필요 스크립트 제거.
  5. 전환 유도: 본문 60% 지점과 결론 직후 CTA(구독/뉴스레터/관련 글).

같은 글도 채널별 의도가 다릅니다. 검색 유입은 문제 해결형 구조, 소셜 유입은 스토리텔링/시각 요소를 강화하세요.

 

전환 설정(스크롤·클릭·구독·아웃바운드)

 

GA4에서 전환은 비즈니스 목표에 맞춰 자유롭게 정의합니다. 티스토리에서는 다음 이벤트를 추천합니다.

  • scroll_90: 90% 스크롤 도달(핵심 콘텐츠 소비)
  • click_subscribe: 구독 버튼 클릭
  • click_outbound: 외부 링크 클릭(스폰서/추천 글)
  • view_second_post: 동일 세션 내 2페이지 이상 열람

전환을 설정해 두면 채널·랜딩·기기별 전환율을 비교할 수 있어, 리소스를 어디에 재배치할지 명확해집니다.

 

발행/운영 체크리스트

 

  1. 채널별(검색/소셜/리퍼럴/직접) 트래픽 비중과 전환율을 파악했는가?
  2. 상위 랜딩페이지를 허브로 승격하고 내부 링크를 보강했는가?
  3. 하위 랜딩페이지는 제목/요약/목차/썸네일로 리라이트했는가?
  4. scroll_90, click_subscribe 등 전환 이벤트가 설정되어 있는가?
  5. 모바일 속도·CLS·이미지 ALT/캡션을 점검했는가?

 

채널비중 ---> 랜딩 승격 /리라이트 ---> 전환 이벤트 설정 ---> 속도/UX 점검 순서로 운영하세요

 

최종 정리

 

티스토리 성장은 결국 채널-랜딩-행동-전환의 고리를 얼마나 잘 돌리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GA4는 이 고리를 데이터로 가시화해, 무엇을 늘리고 무엇을 줄여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오늘 템플릿을 그대로 적용해 2주만 비교해 보세요. 상위 랜딩의 내부 링크와 CTA를 보강하고, 하위 랜딩을 리라이트하는 것만으로도 재방문과 구독, 애드센스 수익이 함께 개선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