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운영 노하우

티스토리 글 통합/분리 전략으로 SEO 잡기

블로그 꿀팁 2025. 10. 7. 13:30
반응형

티스토리 글 통합 / 분리 전략으로 SEO잡기

 

 

티스토리 글 통합/분리 전략으로 SEO 잡기

 

콘텐츠 통합글 분리키워드 중복캐노니컬내부 링크

 

왜 통합/분리가 SEO 핵심인가

 

같은 주제를 여러 글로 쪼개면 키워드 캐니벌라이제이션(서로의 순위를 갉아먹음)이 발생하고, 반대로 한 글에 모든 걸 우겨 넣으면 의도 불일치로 이탈이 늘어납니다. 해결책은 간단합니다. 의도가 겹치면 통합하고, 의도가 갈라지면 분리하는 것입니다.

티스토리에서 특히 중요한 이유는 내부 링크/카테고리 구조가 단순해 허브-스포크 전략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핵심: “하나의 검색 의도에는 하나의 대표 문서.” 나머지는 스포크로 분리·연결합니다.
의도 겹침 = 통합, 의도 분화 = 허브 스포크 분리. 기본원칙을 기억하세요

 

진단: 통합/분리 신호는 무엇인가

 

상황 신호 권장 조치
유사 글 다수 쿼리/스니펫 유사, 상위권 동시 진입 실패 대표 1개로 통합, 나머지 301 또는 내부 링크로 흡수
한 글이 너무 김 스크롤 90% 낮음, 섹션 의도 제각각 섹션별 스포크로 분리, 허브에서 앵커·링크 제공
시즌/지역 분화 연도/지역/버전별 다른 검색 의도 연도/지역 스포크 분리, 허브에서 비교·네비 제공

 

데이터 감사: 쿼리·순위·CTR 비교

 

  • 서치콘솔: 페이지별 쿼리 겹침 확인(상위 20개 질의 비교)
  • GA4: 랜딩별 참여 시간·scroll_90·view_second_post
  • SERP 확인: 상위 10개 문서의 포맷/의도/범위를 카드로 메모

두 글의 상위 쿼리 50% 이상이 겹치면 통합 후보, 쿼리 군집이 다르면 분리 후보로 태깅합니다.

 

의사결정 트리: 통합 vs 분리

 

  1. 의도 동일? 동일 → ② / 다름 → 분리(스포크) 설계
  2. 권위 페이지 존재? 있다 → 그 페이지를 대표로, 나머지는 흡수
    없다 → 성과가 더 좋은 쪽을 대표로 채택
  3. 중복/부족 섹션 정리: 통합 시 중복 삭제, 최신 데이터/표/FAQ 보강
  4. 내부 링크: 허브↔스포크, 관련 글 2~3개 제안

 

의사결정 트리로 감에 의존하지 말고 일관되게 결정하세요

 

기술 처리: URL/301/캐노니컬/앵커

 

  • 301 리다이렉트: 통합 대상의 옛 글을 대표 글로 301(가능한 경우). 티스토리는 스킨/플러그인/서버 설정에 제한이 있으므로, 불가 시 상단에 명확한 안내와 내부 링크 배치.
  • 캐노니컬: 중복 가능성이 있는 유사 글에는 대표 URL을 캐노니컬로 지정(가능한 경우).
  • 앵커/목차: 허브에 섹션별 앵커와 TOC 제공, 검색 의도에 맞는 빠른 점프.
  • 이미지/파일: 파일명·ALT·캡션을 대표 글 기준으로 재정비.
주의: 301이 불가하면 콘텐츠 완전 삭제는 피하고, 본문 상단에 “최신 글로 이동” 안내와 내부 링크를 제공하세요.

 

콘텐츠 재작성: 허브/스포크/FAQ

 

허브(대표) 문서

  • 요약 3문장 → 핵심 포인트 3~5개 → 섹션 바로가기(앵커)
  • 비교표/체크리스트/FAQ로 스캔 가독성 확보

스포크(세부) 문서

  • 단일 의도(지역/연도/세부 작업)만 깊게 다룸
  • 허브로 역링크 + 관련 스포크 간 상호 링크

통합 후에는 반드시 최종 수정일과 변경 내역을 간단히 표기해 신뢰를 높이세요.

 

성과 측정과 리스크 관리

 

  • 주요 지표: 순위·CTR·참여 시간·scroll_90·view_second_post
  • 전/후 비교: 통합/분리 전 28일 vs 후 28일의 변화를 카드로 기록
  • 리스크: 순위 일시 하락(2~3주); 제목만 변경한 얕은 통합은 효과 미미
팁: 허브의 OG/썸네일/메타를 새로 만들어 SNS 유입까지 함께 갱신하세요.

 

발행 전 체크리스트

 

  1. 두 글의 상위 쿼리 50% 이상이 겹치면 통합 후보로 지정했는가?
  2. 스포크로 분리할 섹션이 명확한가(의도·대상·지역/연도)?
  3. 301/캐노니컬/내부 링크/앵커 등 기술 처리가 정리됐는가?
  4. 허브↔스포크 양방향 링크와 관련 글 제안을 넣었는가?
  5. 요약/TOC/비교표/FAQ로 가독성을 보강했는가?
  6. 이미지 ALT/캡션·WebP·OG/메타를 최신화했는가?

 

의도. 기술. 링크. 가독성. 메타를 한 번에 점검하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최종 정리

 

통합/분리는 ‘새 글 더 쓰기’보다 빠르게 성과를 내는 SEO 레버리지입니다. 의도 중심으로 페이지 역할을 재정의하고, 허브-스포크 네트워크로 재배치한 뒤, 301/캐노니컬·내부 링크·메타까지 정리하면 유입·체류·전환이 함께 개선됩니다.

오늘 템플릿을 기준으로 상위 5개 중복 주제부터 정리해 보세요. 다음 주에는 데이터의 곡선이 달라질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