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RSS 활용한 트렌드 자동 포스팅
RSS로 트렌드 자동 수집하는 이유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는 여러 출처의 최신 글을 한 곳으로 모아주는 표준 피드입니다. 관심 주제의 신문·공식 블로그·연구소·기업 발표를 한 번에 받아보며, 수집 → 선별 → 요약 업무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자동화의 목적은 “복사-붙여넣기”가 아니라, 빠르게 소재를 확보하고 분석·해설에 시간을 쓰기 위함입니다. 이는 애드센스가 요구하는 원본성·가치 추가와도 일치합니다.

양질의 피드 선정 기준
- 공식성: 정부/기관/기업/학회 등 1차 출처 우선
- 정기성: 주 3회 이상 업데이트되는 피드
- 전문성: 데이터·보고서·기술 블로그 등 근거 중심
- 중복 최소화: 유사 피드는 1~2개로 제한
- 저작권 안전: 요약·인용 가이드가 명확한 곳
반자동 포스팅 워크플로우
1) 수집: RSS 리더 세팅
Feedly/Inoreader 같은 리더에서 카테고리를 만들고(예: 테크, 경제, 정책), 피드를 5~10개씩 등록합니다. 키워드 알림(AI keyword alerts)을 추가해 신생 이슈도 잡습니다.
2) 선별: 아침 10분 큐레이션
제목/요약을 훑어 독자에게 영향이 큰 3건만 핀으로 저장. 중복·출처 불명은 제외합니다.
3) 초안: 자동 요약 보조 + 직접 검토
핵심 수치·날짜·주체만 표로 모으고, 요약 3문장 + 핵심 포인트 3개를 작성합니다. 원문 링크를 바로 남겨 인용을 투명하게 합니다.
4) 본문 작성: 템플릿에 삽입
아래 포스팅 템플릿 구조에 맞춰 해설·인사이트를 채우고, 관련 내부 링크를 연결합니다.
5) 발행: 이미지·메타·목차 점검
대표 이미지 1장 + 본문 중간 이미지 2~3장 배치, <meta description>
과 목차 링크를 확인 후 발행합니다.

포스팅 템플릿(요약→해설→인사이트)
요약(3문장)
[이슈/사건]이 [날짜] [기관/기업]에서 발표되었습니다. 핵심 수치는 [지표·증감]이며, 영향 범위는 [대상/시장]입니다. 원문은 아래 출처를 참고하세요.
핵심 포인트(3~5개)
- 포인트 1 — 수치/정책 핵심
- 포인트 2 — 전년/경쟁 대비 변화
- 포인트 3 — 독자에게의 실질적 영향
해설(배경·맥락)
왜 지금 발표되었는지, 기존 흐름과 무엇이 달라졌는지 비교합니다. 2개 이상의 공신력 있는 자료로 교차 검증하세요.
인사이트 & 다음 행동
- 체크 ① [무엇을 바로 적용/점검할지]
- 체크 ② [추적해야 할 지표/일정]
- 관련 읽을거리: 내부 링크 2~3개
출처
매체/기관명(링크), 보고서명(링크)

SEO·애드센스 체크리스트
- 제목: 핵심 키워드 + 구체성(날짜/지표), 30~35자 권장
- 메타 설명: 120~150자, 독자 혜택 중심
- 출처·인용: 짧게 인용, 링크 명시, 표절 금지
- 이미지: alt/캡션/크기 지정(
width/height
) - 내부 링크: 허브(이슈 요약) ↔ 스포크(심층 글) 연결
- 광고: 정보 → 선택지 → 얇은 광고 리듬 유지, 과도 노출 금지
운영 팁 & 유지보수
- 피드 정리: 중복/저품질 소스는 월 1회 청소
- 카테고리 허브 페이지를 만들어 트렌드 아카이브 구축
- 발행 캘린더: 오전 큐레이션 → 오후 작성/발행 루틴 고정
- 독자 참여: 설문/댓글 유도 위젯으로 다음 주제 확보
FAQ: 자주 묻는 질문
Q1. 완전 자동 포스팅 가능할까요?
가능하더라도 권장하지 않습니다. 저작권·정책·품질 이슈로 블로그 신뢰도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반자동(사람 검수) 구조가 안전합니다.
Q2. 이미지 저작권은 어떻게 관리하나요?
직접 제작/라이선스 명확한 소스를 사용하고, 캡션에 출처를 남기세요.
Q3. 하루 몇 건이 적당할까요?
품질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1~2건이 적당합니다. 몰아쓰기보다 일정한 주기가 더 중요합니다.
'SEO & 검색 최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저품질 블로그 탈출 일지 (실험기록) (0) | 2025.09.21 |
---|---|
뉴스 기반 티스토리 포스팅 구조 템플릿 (0) | 2025.09.20 |
티스토리에서 구글 웹스토리 연동하는 방법 (0) | 2025.09.20 |
광고 클릭률 2배 올리는 위젯 구성법 (0) | 2025.09.19 |
티스토리 스킨 커스터마이징으로 체류 시간 늘리기 (1) | 2025.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