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운영 노하우

블로그 성과 추적용 UTM 파라미터 설정법

블로그 꿀팁 2025. 10. 16. 07:30
반응형

블로그 성과 추적용 UTM 파라미터 설정법

 

블로그 성과 추적용 UTM 파라미터 설정법

 

UTM 파라미터GA4캠페인 추적티스토리애드센스 승인

 

왜 UTM인가: 채널별 성과를 분리하는 열쇠

 

UTM은 링크에 붙이는 추적 파라미터입니다. 같은 글이라도 SNS·뉴스레터·커뮤니티 등 유입 출처를 정확히 구분해 CTR·세션·전환을 비교할 수 있게 합니다.

핵심: 링크마다 source·medium·campaign을 표준화하면, 어떤 채널/문안/썸네일이 성과를 냈는지 명확해집니다.
채널별 링크에 UTM을 붙이면 GA4에서 성과가 분리되어 보입니다

 

UTM 기본 5종과 의미

 

파라미터 예시 의미 메모
utm_source instagram, naver_cafe 트래픽 출처 채널/플랫폼 이름
utm_medium social, referral, email 매체 유형 소셜/커뮤니티/뉴스레터
utm_campaign trend_2025_launch 캠페인 이름 시즌/테마/이벤트
utm_content thumb_A, text_B 크리에이티브 A/B 테스트 구분
utm_term webp_guide 키워드 선택(광고/검색용)

 

네이밍 규칙: 읽을 수 있는 표준안

 

  • 스네이크케이스(소문자_언더바), 공백/한글/특수문자 금지.
  • 고정 순서: 시즌/테마_콘텐츠유형_버전 (예: trend_2025_cardA).
  • 스프레드시트 관리: 생성자/날짜/목적/대상/문안/썸네일 기록.

 

예) https://도메인/글-주소?
utm_source=instagram&utm_medium=social&utm_campaign=trend_2025_cardA&utm_content=headline_short

 

생성/붙이기 예시(복붙 템플릿)

 

기본 링크: https://도메인/글-주소
태깅 링크: https://도메인/글-주소?utm_source=x&utm_medium=social&utm_campaign=trend_2025_thread&utm_content=thumb_dark

생성 규칙(요약)
1) source: instagram / x / naver_cafe / newsletter
2) medium: social / referral / email
3) campaign: trend_연도_콘텐츠유형
4) content: thumb_A / text_B / headline_short
팁: 링크 단축 전 UTM이 먼저 붙어야 하고, 최종 랜딩과 og:url/canonical이 일치해야 합니다.

 

단축 링크/리디렉트와 주의점

 

  • 단축 전 UTM: 단축 서비스는 리디렉트를 쓰므로, 원본 URL에 UTM을 먼저 붙입니다.
  • 다단계 리디렉트 금지: 1회 리디렉트 내로 제한, 추적 누락 방지.
  • 가시성: 커뮤니티는 긴 URL 노출을 싫어할 수 있어 단축 권장.

 

GA4에서 측정/분석하는 법

 

  1. 획득 보고서: 트래픽 획득에서 소스/매체(utm_source/medium)로 분류 확인.
  2. 세그먼트: 캠페인명(utm_campaign)으로 세그먼트를 만들어 CTR·참여시간 비교.
  3. 커스텀 이벤트: scroll_90, view_second_post를 목표 지표로 추가.

이렇게 하면 썸네일/문안/채널 조합의 승자가 보이고, 이후 캠페인에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행 전 체크리스트

 

  1. 모든 링크에 source/medium/campaign이 빠짐없이 들어갔는가?
  2. 네이밍 규칙(소문자·언더바·버전)이 일관되는가?
  3. 단축/리디렉트 후 실제 최종 URL에서 UTM이 유지되는가?
  4. GA4에서 소스/매체/캠페인별 보고가 분리되어 보이는가?
  5. 광고·정책 위반 표현 없이 자연스러운 문맥에 링크를 배치했는가?

 

네이밍 규칙과 테깅 순서를 지키면 분석이 쉬워집니다

 

소스/매체/캠페인 세그먼트로 CTR참여 깊이를 비교하세요

 

최종 정리

 

UTM 파라미터는 측정의 표준어입니다. 링크마다 동일한 규칙으로 태깅하고, GA4에서 세그먼트로 비교하면 어떤 채널과 크리에이티브가 수익/구독에 기여하는지 명확해집니다. 오늘 템플릿을 그대로 복붙해 다음 캠페인부터 적용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