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운영 노하우

티스토리 포스트에 JSON-LD 구조화 데이터 삽입하기

블로그 꿀팁 2025. 10. 15. 07:03
반응형

티스토리 포스트에 JSON-LD구조화 데이터 삽입하기

티스토리 포스트에 JSON-LD 구조화 데이터 삽입하기

 

JSON-LD구조화 데이터FAQ 스키마Breadcrumb리치결과

 

왜 JSON-LD인가: 리치결과와 유지보수

 

JSON-LD는 HTML을 건드리지 않고 스크립트 한 덩어리로 구조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마이크로데이터보다 유지보수가 쉽고, 티스토리 같은 템플릿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 글의 사실메타데이터가 일치해야 합니다. 썸네일·제목·날짜가 다르면 리치결과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스키마 선태그ㅡ> JSON-LD삽이브> 검증을 거쳐 리치결과로 연결됩니다

 

삽입 위치: 스킨 head vs 글 본문

 

  1. 스킨 <head> (공통): 사이트 공통 정보(Organization, WebSite, BreadcrumbList 기본 경로).
  2. 글 본문(개별): Article·FAQ·HowTo 등 포스트별 변수가 있는 스키마.
<!-- 본문 HTML 위·아래 어디든 가능(권장: 본문 말미) -->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script>

 

주요 스키마 타입: Article·Breadcrumb·FAQ

 

  • Article/BlogPosting: 제목/설명/대표 이미지/작성자/게시·수정일.
  • BreadcrumbList: 홈→카테고리→글 단계. 내부 링크 구조 강화.
  • FAQPage: 실제 본문에 보이는 Q/A가 있어야 유효.

 

팁: 같은 페이지에 중복 타입을 여러 개 넣지 말고, 대표 타입 1개 + 보조 1개로 간결하게.

 

예시 코드: 바로 복붙 가능한 템플릿

 

1) Article (BlogPosting)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BlogPosting",
  "mainEntityOfPage": {
    "@type": "WebPage",
    "@id": "https://도메인/글-주소"
  },
  "headline": "글 제목(30~60자)",
  "description": "요약(120~160자)",
  "image": ["https://도메인/이미지/og-1200x630.webp"],
  "author": {"@type": "Person", "name": "작성자명"},
  "publisher": {"@type": "Organization", "name": "블로그 이름", "logo": {"@type": "ImageObject", "url": "https://도메인/logo-512x512.png"}},
  "datePublished": "2025-10-01T09:00:00+09:00",
  "dateModified": "2025-10-13T09:00:00+09:00"
}

 

2) BreadcrumbList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BreadcrumbList",
  "itemListElement": [
    {"@type": "ListItem", "position": 1, "name": "홈", "item": "https://도메인/"},
    {"@type": "ListItem", "position": 2, "name": "카테고리명", "item": "https://도메인/category/카테고리"},
    {"@type": "ListItem", "position": 3, "name": "글 제목", "item": "https://도메인/글-주소"}
  ]
}

 

3) FAQPage (본문에 Q/A가 실제로 있어야 함)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FAQPage",
  "mainEntity": [
    {"@type": "Question", "name": "질문 1?", "acceptedAnswer": {"@type": "Answer", "text": "답변 1."}},
    {"@type": "Question", "name": "질문 2?", "acceptedAnswer": {"@type": "Answer", "text": "답변 2."}}
  ]
}
페이지 목적에 맞춰 대표 스키마 1개와 보조 1개를 선택하세요

 

검증/배포 체크: 테스트와 캐시

 

  1. 구문 검사: 중괄호/쉼표 오류, 따옴표(한글 인용부호 금지) 확인.
  2. 리치결과 테스트로 지원 여부/경고 확인.
  3. 서치콘솔 커버리지·향상 보고서에서 오류/경고 추적.
  4. 캐시 초기화: 이미지·JSON 교체 시 파일명 버전업(?v=20251013).
팁: 에러가 나면 한 개씩 비활성화해서 원인을 좁히세요.

 

문제 해결: 중복/인코딩/리디렉트

 

  • 중복 스키마: 플러그인/스킨이 자동 삽입하는 타입과 겹치지 않도록 검사.
  • 인코딩: <meta charset="utf-8"> 확인, URL/이미지는 절대경로.
  • 리디렉트: og:url·캐노니컬·JSON-LD의 URL이 실제 랜딩과 일치.

 

SEO·정책·속도 체크리스트

 

  • SEO: 제목 30~35자, 메타 120~150자, 내부 링크 2개+, 앵커/TOC 제공.
  • 속도: 이미지 WebP, width/height 지정, 지연 로딩.
  • 정책: 1화면 1광고, 클릭 유도 문구 금지, 출처·저작권 표기.

 

발행 전 체크리스트

 

  1. 대표 스키마 1개(Article)와 보조(Breadcrumb/FAQ)만 활성화했는가?
  2. 제목/설명/이미지/날짜가 본문·OG·JSON-LD에서 일치하는가?
  3. Rich Results Test·서치콘솔에서 오류 없이 통과되는가?
  4. 캐시(서버·CDN·소셜)와 파일명 버전이 갱신되었는가?

 

일치성.검증.캐시.간결성만 지켜도 절반은 성공입니다

 

최종 정리

 

JSON-LD는 티스토리에서도 손쉽게 적용 가능한 구조화 데이터 방식입니다. 대표 스키마를 정하고 예시 코드를 템플릿화한 뒤, 검증/캐시 루틴까지 자동화하면 리치결과 가능성이 높아지고, 클릭·체류·구독으로 이어집니다.

반응형